티스토리 뷰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 일종의 reference model
- 다른 시스템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에서 제안한 Protocol
- 7계층 외우는 방법 (응표세전네데물)
- 계층을 지날때 마다 Header가 붙는데, 이것은 해당 계층의 기능과 관련된 제어 정보가 포함

OSI 7 Layer
계층이름 | 설명 | 장비 | 데이터 단위 |
응용 (Application) |
사용자가 OSI 환경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 |
||
표현 (Presentation) |
데이터를 응용 계층, 세션 계층에 보내기 전에 계층에 맞게 변환 |
메시지 | |
세션 (Session) |
데이터가 통신하기 위한 논리적 연결 송수신 측 간의 관련성 유지하고 대화 제어 담당 TCP/IP 세션을 만들고 없앰 통신을 하기 위한 세션을 확립/유지/중단 |
메시지 | |
전송 (Transport) |
통신활성화 논리적 안정과 균일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 종단 시스템간의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함 주소 설정, 다중화, 오류제어, 흐름제어 TCP, UDP 프로토콜 사용 패킷 생성(Assembly/Sequencing/Deassembly/Error detection/Request repeat/Flow control) |
게이트웨이, L4 스위치 | 세그먼트 |
네트워크 (Network) |
개방 시스템들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고 데이터의 교환 및 중계가능 |
라우터, L3 스위치, 공유기 | 패킷 |
데이터 (Datalink) |
두 개의 인접 개방 시스템들 간의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함 |
브리지, 스위칭허브 | 프레임 |
물리 (Physical) |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 간의 실제 접속과 절단 등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에 대한 규칙을 정의 디지털신호를 전기신호로 전송 (어떤 회선을 사용할것인지..? ) |
리피터, 더미허브 | 비트 |
네트워크 관련 장비
허브(hub)

-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치
- 각 회선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신호 증폭 기능을 하는 리피터의 역할도 포함
- 더미 허브(L1 기능만 됨)
-> 네트워크에 흐르는 모든 데이터를 단순히 연결만 함
-> LAN이 보유한 대역폭을 나누어 제공
- 스위칭 허브(L2 기능만 됨)
-> 네트워크상에 흐르는 데이터의 유무 및 흐름을 제어하여 각각의 노드가 허브의 최대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는 지능형 허브
리피터(Repeater)

- 전송되는 신호가 원래의 형태와 다르게 왜곡되거나 약해질 경우 원래의 신호 형태로 재생하여 다시 전송하는 역할
- 근접한 네트워크 사이에 신호를 전송
- 전송 거리의 연장 또는 배선의 자유도를 높이는 용도
브리지(Bridge)

- LAN과 LAN을 연결하거나 LAN안에서 컴퓨터 그룹을 연결
- 데이터 링크 계층 중 MAC 계층에서 사용되므로 MAC 브리지라고도 함
스위치(Switch)

- LAN과 LAN을 연결하여 훨씬 더 큰 LAN을 만드는 장치
- 포트마다 각기 다른 전송속도를 지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음
- 수십 ~ 수백 개의 포트를 지원
L2 스위치 | OSI 2계층에 속함 일반적으로 부르는 스위치를 말함 MAC주소를 기반으로 프레임 전송 동일 네트워크 간 연결만 가능 |
L3 스위치 | OSI 3계층에 속함 L2 스위치에 라우터 기능이 추가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 전송 서로 다른 네트워크 연결 가능 |
L4 스위치 | OSI 4계층에 속함 L3 스위치에 로드밸런서(트래픽 분산 장치) 추가 IP 주소 및 TCP/UDP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의 요구를 서버의 부하가 적은 곳에 배분하는 로드밸런싱 기능 제공 |
L7 스위치 | OSI 7계층에 속함 IP 주소, TCP/UDP 포트 정보에 패킷 내용까지 참조하여 세밀하게 로드밸런싱함 |
라우터(Router)

- LAN과 LAN의 연결 기능에 데이터 전송의 최적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
- 서로 다른 LAN이나 LAN과 WAN의 연결도 수행
- 접속 가능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Routing Table에 저장하여 보관
게이트웨이(Gateway)

- 전 계층의 프로토콜 구조가 다른 네트워크의 연결을 수행
- LAN에서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출입구 역할을 함
'Programming > 서버와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Server] Nodejs를 사용하여 Heroku로 Posting 해보기 (0) | 2020.08.26 |
---|---|
Node js OpenSSL 설치 및 https 설정 (0) | 2020.08.26 |
Windows10 Linux 개발환경 구축 (0) | 2020.08.24 |
빡쳐서 쓰는 우분투 하드디스크 설치 극복기 (0) | 2020.01.01 |
우분투 ubuntu anydesk install (0) | 2019.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