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L87l9/btqG6fJR1Mb/g7FMVG3VAbJvSDy16LTtsK/img.png)
https://crynut84.github.io/2018/01/10/building-dev-env-using-wsl/ Windows10에서 Linux 개발환경 구축 2년 정도 OS X를 개발환경으로 사용했더니, 얼마 전 이직한 회사의 Windows 10 환경이 낯설게만 느껴졌다. Shell이 제일 불편했고, 각종 오픈소스 문서에 나오는 설정을 따라 하는데 Windows의 경우 설명 crynut84.github.io 이 블로그를 참고하면 됨 Windows Subsystem for Linux(WSL) - 위 블로그보고 사항 확인하고 설치하기 1. 윈도우 빌드 정보 확인 2. 개발자 모드 설정 3. 윈도우 기능 켜기 4. 리눅스 설치 https://hyper.is/ 에 접속해서 이쁘게 cmd 창 꾸미고~ Ed..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wRLcr/btqGFaQfeO5/MKJbsRT5t7sVHWXf9YqPpk/img.jpg)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 일종의 reference model - 다른 시스템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에서 제안한 Protocol - 7계층 외우는 방법 (응표세전네데물) - 계층을 지날때 마다 Header가 붙는데, 이것은 해당 계층의 기능과 관련된 제어 정보가 포함 OSI 7 Layer 계층이름 설명 장비 데이터 단위 응용 (Application) 사용자가 OSI 환경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 간의 정보 교환, 전자 사서함, 가상 터미널 등의 서비스 제공 표현 (Presentation) 데이터를 응용 계층, 세션 계층에 보내기 전에 계층에 맞게 변환 서로 다른 데이 터 표현 형태를 갖는 시스템 간 상호 접속을 위해 필요한 계층 코드 변환, 데..
우선 window에서 쓰는 컴퓨터를 싹 다 지우고 우분투로 넘어오기 위해 ... 파일을 설치 했다. 진짜 삽질 정말 많이 했지만 우분투를 쓰게 되면 나의 편함이 훨씬 더 올라가기 때문에 어쩔수 없었다. 특히 개발할때는 우분투가 훨씬 편하기 때문에 끝까지 가보기로 하였다. 나같은 경우 hdd가 window파일 전용으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무조건! 포맷을 하고 다시 하드를 인식시키는 과정이 필요하였다. 설치하면서 헷갈렸고 오류났던것만 정리한다. * 우분투 emergency mode 들어갔을때 > mount -o remount,rw / > vi /etc/fstab 이전에 설정한 부분 수정후 저장 > :wq > reboot * 우분투 하드디스크 권한 주기 > sudo chown -R user:user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