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구조해석
- 선형 해석 구조 개념
- 선형 구조 해석은 경계조건과 하중이 정적으로 작용하는 구조물에 대한 해석
- 이 해석은 모델의 변위, 변형률, 응력, 반력을 구해 내고 안전계수(Factor of Safety)를 이용하여 소성 및 파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선형 응력 해석은 후크의 법칙을 기본식으로 표현된다 F=KU
- 탄성 : 물체에 힘이 작용할 때 형태가 바뀌었다가 힘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는 성질
- 중요기능
- 비선형 구조 해석
-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식 [K]{U}= {F}
- [K] : 강성행렬 – 구조물의 형상 및 재료 물성을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행렬
- 구조물이 비 선형 거동을 보이는 이유
- 기하학적 비선형 : 대변형, 대회전 등으로 인해 각 절점이 미소 변위를 일으킨다는 가정을 더 이상 적용할 수 없게 되며, 이에 따라 강성행렬[K]도 변하게 된다.
- 재료비선형 : 상대적으로 큰 외력이 작용하는 구조물의 경우 항복을 일으키게 되고, 이후에는 소성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 항복점 이후에는 탄성 계수만을 적용할 수 없게 되어 강성행렬[K]가 변화하게 된다
- 상태변화비선형 : 해석 도중 경계조건이 달라짐으로써 구조물의 강성행렬이 바뀌는 경우로서, 접촉으로 인한 상태변화가 대표적인 예이다.
- 비선형 문제를 해석할 때에는 비선형적인 거동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햇 주어진 하중 또는 변위를 여러구간으로 분할하고 각 구간에 대하여 평형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여러번의 반복계산을 수행함으로써 해를 얻게 되며, 이때 사용되는 대표적인 방법? 뉴턴랩슨법(newton-Rapshon Method)
'Engineering > 유한요소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SYS Mechanical APDL(MAPDL) (0) | 2020.03.17 |
---|---|
유한요소해석 열전달해석 (1) | 2020.03.17 |
유한요소해석 진동 (0) | 2020.03.17 |
ANSYS MESH에 대하여 (0) | 2020.03.17 |
ANSYS Workbench (0) | 2020.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