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동해석 개념 설계에는 필연적으로 진동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진동수(Frequency) : 주기적인 현상이 매초 반복되는 횟수로서 1초간 진동한 횟수를 말하며 진동이 얼마나 자주 일어나는가를 나타낸다. + 초기위치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완전히 한번 진동하는데 이것이 1초 걸렸으면 진동수는 1초에 한번 진동한 것이며 값은 1 [단위 : Hz] 주기(Period) : 진동수의 역수, 한번 진동하는데 걸리는 시간[단위 : s] 진폭(변위, Amplitute) : 아래 위로 흔들린 쪽으로 진동을 변위와 시간의 함수로 나타낸 것 고유진동수(Natural Frequency) : 탄성체가 자연스럽게 진동하는 진동수. 물체의 재료 특성이나 모양에 의해 결정되는 특정 진동수, 고유진동수(f)는 단위..
Mesh? 격자(Mesh)생성? 유한요소해석을 하기 위해 CAD형상을 절점(Node)와 요소(element)로 구성되어 있는 유한개의 격자(Mesh)로 분할하는 것을 의미한다. 좋은 품질의 메쉬 생성은 정확한 해석결과를 얻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며, 생성된 Mesh 품질이 불량하면 부정확한 결과를 얻게 된다. Global Mesh Outline의 Mesh항목을 선택하고, 상세창(Details View)에서 Mesh 항목의 다양한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 이 항목에서 변경하는 값은 모델 전체에 적용 Defaults Physics Preference : Mechanical, Electromagnetics, CFD, Explicit Mesh로 설정이 가능하며, 선택에 따라서 하위 항목들의 기준값..
Ansys Workbench Ansys Workbench에서는 다물리계(Multiphysics)의 해석들을 구성하여 system 단계의 솔루션을 얻을 수 있다. Workbench platform은 데이터 통합관리 및 변수 제어를 기반으로 구조해석, 유동해석, 전자기장해석을 독립적으로 진행하거나 각 물리계 해석들을 연동하여 연성해석(Multiphysics Analysis)를 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Ansys Workbench에서는 구조, 온도, 전자기장, 유체, 낙하, 충돌 등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연성해석(Coupled-filed analysis)을 수행할 수 있으며, CAD 인터페이스 및 유한요소모델(Mesh) 생성 등의 전처리 환경과 폭 넓은 분석 기능을 갖춘 후처리 환경, 설계 최적화도구, 데이..
Finite Element Analysis FEA(Finite Element Analysis)? 지정된 경계조건에 대한 구조물의 응답을 해석하는데 사용되는 수치해석적 방법 미분방정식을 수치적인 근사해법으로 푸는 방법 연속체를 mesh로 잘게 나누면, 이산화(=이산체)라는 것이 된다 -> mesh는 잘게 쪼갤수록 결과값이 이론값에 근사해진다. 실제 공학설계는 복합(다중) 물리현상이다. Ex) 다수의 부품이 결합된 제품,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 제품 Multiphysics : 복합(다중) 물리 구조물은 node의 위치로 정의되는 element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각각의 요소는 하중-응답에 대한 특별한 함수를 가지고 있다 모델을 이루는 각 요소들의 응답을 조합하여서 전체 응답을 계산한다 요소들은 유한개의 미지..
1. 웨이블렛(wavelet) 국부적으로 존재하는 어떤 하나의 작은 파(wavelet)를 패턴으로 하여 이것을 천이시키거나 확대, 축소의 스케일(scale)을 통하여 임의의 파형으로 표현 기본 함수로 sine, cosine 함수 이외에 웨이블릿 모함수 사용 웨이블릿은 0을 중심으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진폭을 수반한 파도와 같은 진동 합성곱(convolution) 기술을 통해 알고 있는 신호와 결합하여, 알려지지 않은 신호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음 대표적인 wavelet 변환 기법: Orthonormal Wavelet, Biorthonormal Wavelet, Packet Wavelet, Chirplet Wavelet 등의 변환 고주파수 영역에서는 시간축의 창폭을 조밀하게 하여 시간 영..
1. 푸리에변환(Fourier transform) 임의의 입력 신호를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주기 함수들의 합으로 분해하여 표현 (= 여러 함수를 조합해 데이터/함수를 표현하는 것은 1800년 푸리에(Fourier)가 함수를 사인과 코사인의 합으로 표현) 퓨리에 변환 하는 이유? 모든 시간의 정보를 표현 불가, 주파수 domain은 전 구간 표현 가능(해석 및 분석 용이) 고주파부터 저주파까지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sin,cos 함수들로 원본 신호를 분해하는 것 시간에 대한 연속성 고려되지 않음 신호 데이터에 불연속성, 날카롭게 도출된 부분(고주파 성분)이 포함될 경우, 신호의 특징 분석이 난이 → DTFT, STFT, 웨이블릿변환, 가버변환, MFCCs continuous time domain과 Disc..
1. 지진파란 >>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파동 지진이 발생하면 여러 종류의 지진파가 발생하는데, 크게 표면파와 실제파로 나눌 수 있고, 표면파는 L파, 실제파는 P파와 S파가 대표적 표면파 : L파 실제파 : P파, S파 1.1 실제파 P파 P파 (Primary Wave)는 소리와 같은 종파 전파 속도가 5~8km/s로 S파, L파보다 빠르다 매질을 압축하거나 팽창하기 때문에 고체, 액체, 기체를 모두 통과하며 진폭이 짧다 P파는 S파, L파에 비해 진폭이 약해 지진 시에 큰 피해를 입히지 않는다 P파는 암석을 통과하면서 암석을 압축시키거나 팽창시킨다 P파는 종의 진동처럼 진원지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퍼져나간다 Primary 또는 Push의 앞글자를 따서 P파라고 한다 S파 S파(Secondary Wave..
1. 지진데이터 국제규준 SEED(Standard for the Exchange of Earthquake Data)로 전송되며(IRIS), 국내 시스템 저장 형식은 SEED, mini-SEED등 SEED와는 달리 지진 피해와 관련된 특성 자료만을 지진 기록계에서 추출하여 시간지연없이 전송하기 위한 규약으로는 QSCD20(Quick Seismic Characteristic Data from 20sps data)으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제시 2. 입력지진파 계측 또는 인공 지진파가 사용되며 주로 Miyagi-oki지진(1968년 일본 Ofunato 계측, 규모 7.9), Tokachi-oki 지진(1978년 일본 Hachinohe 계측, 규모 7.4) 설계 응답 스펙트럼에 맞추어 생성된 인공지진파 사용 3..
csv 데이터 - 10599863_0_sigma_scale1.csv 우선 이 코드에서 fft는 두가지로 나뉘어 진다. fft_class class에서 def_fft와 def_fft_plot은 세트이다. def_fft에서 sampling 숫자가 달라도 normalization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20 sampling 데이터와 40 sampling data라도 x축 값이 다 같게 나온다. 하지만 비교를 하기 위해서 fft_total_data은 그냥 fft data를 넣기 때문에 20 sampling 과 40 sampling 둘다 x축 값이 다 다르게 나온다. 결론: 그러므로 sampling 수가 다르다면 무조건 noramlization을 해주어야지 제대로된 fft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 - samp..